"비켜라! 아이패드2"…삼성, 세계에서 가장 얇은 갤럭시탭으로 도전 [ 2011.03.23 ]
(삼성전자가 야심차게 선보인 갤럭시탭 10.1(왼쪽)과 갤럭시탭 8.9)
"거기 서 있거라! 아이패드2."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차세대 전략 태블릿PC 모델을 나란히 공개하며 업계 1위 애플 '아이패드2'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삼성전자는 22일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막한 북미이동통신전시... |
|
음료업계, 봄맞이 마케팅 치열 [ 2011.03.22 ]
광고 및 신제품 출시, 이벤트까지 다양
[재경일보 김은혜 기자] 잠시 주춤했던 음료업계가 각자의 브랜드 컨셉에 맞는 전략적인 마케팅을 선보이며 소비자들 앞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각 음료업체에서 새로운 광고 온에어 및 신제품 출시, 소비자 이벤트를 실시하는 등 치열한 마케팅을 펼치고 있어 ... |
|
후쿠시마 원전 덮친 쓰나미 높이 ‘14m 이상’ [ 2011.03.22 ]
당초 예상치보다 4m 더 높아
[재경일보 도쿄=김송희 특파원]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를 강타해 대규모 방사성 물질 누출 공포를 몰고 온 동북부 대지진으로 인한 쓰나미(지진해일)의 높이가 당초 알려진 10m보다 최소 4m는 높았던 것으로 도쿄전력이 22일 밝혔다.
도쿄전력은 11일 지진 발... |
|
‘나는 가수다’ 스포일러 유출 “김건모 자진 사퇴+김연우 출연 등”…김영희 PD “사실 아냐” [ 2011.03.22 ]
MBC 서바이벌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이하 나가수)의 두 번째 스포일러가 등장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지난 21일 MBC 일산 드림센터에서 진행된 ‘나가수’ 녹화에 청중으로 참석한 것으로 추측되는 한 네티즌이 등장, 저번과 같이 그 날 촬영분에 대한 정보를 유출했다.
이 ... |
|
日, 수천명의 외국인 행방 찾기에 부심 [ 2011.03.22 ]
일본 당국은 지진과 해일이 발생할 당시 일본에 거주하고 있던 외국인들의 수를 파악하는데 고심하고 있다.
마츠모토 다케아키(Matsumoto Takeaki) 일본 외무상은 재앙으로 희생당했거나 살아남은 외국인들 모두를 대상으로 복지를 약속했으나 이같은 과정이 고통스러울 정도로 더딘 상태이며 일본 정부... |
|
오바마"리비아내 美역할 줄인다” [ 2011.03.22 ]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리비아 무아마르 카다피(Moammar Gaddafi) 국가원수에 대항하는 서방 연합군 내에서 미국의 역할을 줄여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비행금지구역을 강화에 대한 UN의 역할과 책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남아프리카를 방문하는 동안 칠레에서 가진 연... |
|
美 2월 기존 주택판매 9.6% 감소...가격 하락폭 커 [ 2011.03.22 ]
미국 주택시장에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예상에도 미치지 못한 기존 주택판매량을 기록하고 판매가격도 2002년 이래로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회는 21일 2월 미국 기존주택 판매량이 488만채(연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월 540만채(수정치)에서 9.6% 감소하고,... |
|
셀폰업계의 대격변. 소비자도 웃을까? [ 2011.03.22 ]
독점으로 소비자 위험 vs 빅2 경쟁으로 요금 낮아질 것
휴대전화 업계가 떠들썩하다. AT&T가 T모바일 인수를 발표되면서 공급독점 우려가 불거졌기 때문.
20일 미국에서 두번째로 큰 휴대전화 기업 AT&T가 업계 3위인 T모바일을 인수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AT&T는 업계선두 버라이즌(시... |
|
"무식한 미국인들, 미국 미래 위협"…독립기념일 모르는 국민 수두룩 [ 2011.03.22 ]
미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미국 귀화시험을 시행한 결과 38%가 통과하지 못하는 등 국민의 무지로 인해 미국의 미래가 위협받고 있다고 뉴스위크 인터넷판이 21일 보도했다.
뉴 스위크에 따르면 귀화시험을 본 미국민 가운데 29%는 부통령의 이름을 쓰지 못했으며, 73%는 냉전(Cold War)에... |
|
트위터 탄생 5주년…하루 트윗 1억4천만건 [ 2011.03.22 ]
21일로 트위터의 공동창업자인 잭 도시가 처음으로 트윗을 전송한 지 5년이 흘렀다.
5년 전인 2006년 당시 140자 이내 단문으로 자신의 의견과 감정 등을 표현하는 이른바 '마이크로블로깅' 실험이 이제 전세계적으로 소통과 관련된 문화 아이콘 가운데 하나가 됐으며, 중동 등에서는 민주화의 상징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