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앙드레김 조문’ 김희선, 착용스카프가 논란 대상 된 이유는? [ 2010.08.13 ]
앙드레 김 디자이너 타계 소식을 전하던 중 송지효 웃음실수로 네티즌의 맹비난을 받고 있는 가운데 김희선이 해골무늬 스카프를 착용한 채 조문해 논란이 되고 있다.
데뷔 때 부터 앙드레김 패션쇼에 여러번 참여할 정도로 절친한 김희선은 13일 새벽 남편 박주영 씨와 함께 빈소를 찾아 하염없이 눈물을 흘려... |
|
플로리다, 애리조나보다 한술 더 떠 [ 2010.08.13 ]
논란이 되고 있는 애리조나 이민법보다 한 술 더 뜬 이민법이 11일 플로리다주에서 제안돼 향후 격론이 예상된다.
플로리다 주지사 경선에 나선 빌 맥컬럼 플로리다주 검찰총장은 불법체류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개정 이민법을 이날 제안했다.
이 법안은 미국 사법당국이 보석을... |
|
곡물·원료가격 급등으로 소비자 부담 UP [ 2010.08.13 ]
밀, 커피원두, 코코아, 사탕수수 등 곡물·원료가격 급등이 소비자의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세계가 이상기후로 인한 '애그플레이션(Agflation)'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주요 농산물 생산지인 러시아와 중국, 인디아 등이 폭염과 폭우, 화재로 인해 큰 피해를 입으면서 밀, 커피원두, 사... |
|
캡틴 박지성-여왕 김연아의 실수 대처법은? [ 2010.08.12 ]
박지성과 김연아의 상반된 실수 대처법에 대한 네티즌들의 반응이 뜨겁다.
서울 G20 정상회의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는 박지성과 김연아는 홍보 동영상 촬영장에서 발음이 꼬이거나 웃음을 참지 못해 NG를 내는 등 경기장에서 볼 수 없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팬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박지성과... |
|
김성은, 얼굴전체 성형 후 공개 ‘미달이는 어디에?’ [ 2010.08.12 ]
SBS E!TV <뷰티 솔루션 이브의 멘토>에서 '미달이'로 알려진 아역 탤런트 김성은의 성형 후 모습이 공개됐다.
김성은은 10 방송된 SBS E!TV ‘뷰티솔루션 이브의 멘토’에 4번째 주인공으로 출연, 성형외과 의사, 스타일리스트, 바디 디자이너, 헤어 디자이너, 메이크업 아티스트의 도움을 받... |
|
한장희, 포털사이트에 인물정보 삭제 요청 ‘과거 사생활이 사실이어서?’ [ 2010.08.12 ]
한장희가 종합 포털사이트에 인물정보를 삭제해 줄 것을 요청한 사실이 알려졌다.
MC엔터테인먼트의 김민철 대표는 12일 “한장희에게 연락이 닿지 않고 있는 상태이고, 회사 측의 법적 대응에 어떠한 답변도 없었다”며 “그러나 한장희 본인이 포털 사이트 네이버에 연락을 위해 자신의 인물 정보를 삭제해 달... |
|
'앙드레 김 별세' 연예계 트위터 추모행렬 ‘허망, 허탈, 탄식’ [ 2010.08.12 ]
한국 패션계의 거목, 고(故) 앙드레김의 별세 소식에 스타들은 트위터를 통한 스타들의 애도물결도 끊이지 않고 있다.
12일 오후 7시25분께 고(故) 앙드레김이 대장암 합병증인 폐렴 증세가 악화돼 별세했다. 향년 75세. 여러 차례 건강악화설이 나돌았던 앙드레김은 최근 증상이 악화돼 서울대병원 내과... |
|
내 학점에 판돈 거는 미국 사이트 등장 [ 2010.08.12 ]
학기말에 받을 자신의 학점에 판돈을 걸고, 맞혔을 때 해당 금액 이상을 돌려받을 수 있는 웹사이트가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울트린식(Ultrinsic)'이라는 이름의 이 웹사이트는 A학점에는 최고 한도액을, 발생 가능성이 좀 더 큰 B학점에는 그보다 작은 금액을 지급한다. 해당 과목에 낙제할... |
|
구글폰 없어서 못팔아…인기 무섭게 상승 [ 2010.08.12 ]
구글폰의 때아닌 '품귀(品貴)' 현상에 한인 휴대폰업체들이 행복한 고민을 하고 있다.
일명 구글폰이라고 불리며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모토롤라 '드로이드X', HTC '드로이드 인크레더블', HTC 'Evo 4G', 삼성 '바이브런트'와 '캡티베이트' 등이다. 소비자들로부터 전폭적인 사... |
|
세계 청년실업률 역대 최고…8천100만명 일자리 못찾아 [ 2010.08.12 ]
세계노동기구(ILO)는 12일 보고서를 통해 2009년 전세계 15∼24세의 청년 가운데 13%인 8천100만명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는 ILO가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고치로, 직전 조사때인 2007년 7천300만명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지난 2년 사이 청년 실업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