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도…'온라인 유권자 등록 호응 [ 2012.09.27 ]
민족학교의 조재이 실무진과 고재완 자원 활동가가 온라인 유권자 등록 시스템을 포함시키는 등 대폭으로 개편된 민족학교 웹사이트를 살펴보고 있다.
민족학교 캠페인 3,500여명 등록
미국 대통령 선거가 4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캘리포니아주가 새로 도입한 인터넷 유권자 등록 시스템이 큰 호응을... |
|
"딸꾹질 멈춰!" 총장난 했다가…그만 [ 2012.09.27 ]
실탄 든지 모르고 쏜 총 맞아 사병 사망
미군 사병이 권총에 실탄이 든 지도 모르고 딸꾹질을 하던 동료를 향해 방아쇠를 당겨 목숨을 잃게 한 어이없는 군기 사고가 발생했다.
26일 CNN과 AP 통신에 따르면 텍사스주 중부의 킬린시 경찰은 아이작 영(22) 일병을 살해한 혐의로 패트릭 마... |
|
사형수가 마지막 먹고 싶은 음식은? 1위 치킨 [ 2012.09.27 ]
사형을 앞둔 죄수들이 마지막으로 먹고 싶은 음식은 뭘까.
코넬대학 연구진들이 최근 미국내 247명의 사형수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3.9%가 '고기'라고 답했다. 이중 치킨(37.3%)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햄버거(24%), 3위는 스테이크(22%)였다. 이어 돼지고기, 해산물 ... |
|
"전화비 때문에 못 살겠다" [ 2012.09.27 ]
가구당 통신비 연 1,226달러 …외식·의복비 줄여
최근 미국 가정이 통신비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외식비나 의복비 등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노동부는 지난해 미국 가계의 연간 통신비가 1,226달러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도인 ... |
|
박근혜가 소설가 이외수를 찾은 까닭은? [ 2012.09.26 ]
화천 이외수문학관 찾아… 대선 캠프 영입 시도
이외수 "특정 정당 소속돼 조언은 어려워"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소설가 이외수씨 영입에 나섰지만,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박 후보는 25일 강원도 양구군의 6·25 전사자 유해발굴 현장을 둘러본 뒤 돌아오는 길에 화천군 이외수문학관을 찾아 ... |
|
안철수 봉하마을 방문해 노무현 묘역 첫 참배 [ 2012.09.26 ]
안철수 대선 후보는 26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봉하마을을 찾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했다.
안 후보가 노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 후보는 노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방명록에 "사람을 사랑하셨습니다. 진심 어린 마음가짐 잊지 않겠습니다"라고 기록... |
|
"美서 가장 감동을 주는 기업은 애플… 2년 연속 1위" <포브스> [ 2012.09.26 ]
미국에서 가장 감동(inspiring)을 주는 기업으로 애플이 2년 연속 선정됐다고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 인터넷판이 2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애틀랜타 소재 컨설팅업체인 퍼포먼스 인스파이어드가 소비자 2175명을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애플이 지난해에 이어 ... |
|
미국 8월 소비자신뢰지수 7개월래 최고 [ 2012.09.26 ]
미국의 소비자 신뢰지수가 노동시장 개선의 영향으로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의 민간 경제조사단체인 콘퍼런스보드는 9월 소비자 신뢰지수가 시장전망치(63.1)와 이전달 수정치(61.3)에크게 웃도는 70.3을 기록했다고 25일 발표했다.
경기지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연방준비제... |
|
한국계 포함 아시아계 미국인, 롬니보다 오바마 지지 [ 2012.09.26 ]
한국계를 포함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차기 대통령으로 밋 롬니 공화당 대통령 후보보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압도적으로 더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등 미국 4개 대학으로 구성된 `전국 아시아계 미국인 조사팀(NAAS)'이 최근 아시아 및 태평양 도서 출신 미국인 3034명을... |
|
오바마, 유엔총회 연설서 "한국은 민주화·발전 사례"… 북한 첫 무언급 [ 2012.09.26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5일 제67차 유엔 연차총회 기조연설에서 한국을 민주화와 발전의 사례라고 치켜세웠다.
그는 이란의 핵개발 중단을 촉구하는 대목에서 "평화와 발전은 올바른 선택을 하는 국가의 몫"이라고 언급하면서 한국을 대표적인 사례 가운데 하나로 지목했다.
그러면서 "20세기의 가장 치열... |
|